목록전체 글 (267)
STEADY BETTERMENT
31하지만 무언가를 아는 것 못지않게 어떻게 알았는지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과학 및 역사 지식을 어떻게 습득했는지, 습득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을 극복했는지, 나아가 사용한 가정이나 방법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의문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아는 것을 평가하는 법, 책임감 있게 사고하는 법, 지적 정직성을 추구하는 법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인류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매우 중요하면서도, 굉장히 손에 넣기 어렵다. 우리의 주의를 흐트리고, 진실을 과장하거나 은폐하고, 타인을 속이고 조종하는 기술은 정치에서부터 광고에 이르기까지 도처에 존재한다. 130현재 추정하기로 우주에 있는 은하는 총 2조개에 달한다. 게다가 훨씬 더 놀라운 건 이렇게 광활한 우주가 모든 방향으로 ..
39등을 바닥에 대고 누워 몸통의 좌우를 대칭적으로 느껴보라. 그런 다음 손과 발, 머리에도 의식을 집중해보라. 아마 어떤 부분은 쉽게 느껴지지만, 아예 안 느껴지거나 느낌이 저하되어 딱딱해져 있는 곳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54 물론 전문적인 단계 자체는 중요하다. 이유는 체계성 때문이다. 환경과 외적 영향으로 인해 혼자서 익혔을 경우, 전혀 다른 방향으로 비틀리거나 발전이 불가능했을 일들도 체계적인 행동 방법과 지침을 통해 원하는 목표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체계적으로 배우고 인지하는 일은 인간 행동의 모든 영역을 살펴볼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유롭게 행동하고 숨을 쉴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간을 발견할 수 있다. 79 개인적 경험과 유전적 요소슈프라림빅 시스템의 구조..
41운과 우연에 이토록 취약한 세상에서 나는 두 가지를 늘 기억하려 애쓴다. 하나는 특정한 사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토대로 예측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이 책의 전제이기도 하다. 앞으로 50년 후의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때도 여전히 사람들이 탐욕과 두려움에 지배 당하고, 기회와 리스크, 불확실성, 집단 소속감, 사회적 설득에 반응할 것이라는 사실은 장담할 수 있다. 54중요한 것은 현실에 대한 우리의 관점과 지식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56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은 말했다. "우리는 자신이 모르는 무언가가 자신이 믿는 모든 것을 무효화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아예 하지 못한다." 58정확한 예측이 잇어야 대비를 하겠다고 생각할 때..
120내가 누구인지는 오직 삶의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고 다양한 사건을 헤쳐나가면서 드러난다. 바로 내가 되어가는 것이다. 자아는 사물이 아니라 이야기다.심리학과 철학에서는 이것을 '서사적 정체성'이라고 부른다. 프랑스 철학자 폴 리쾨르는 자아가 서사를 통해, 다시 말해 개인의 이야기와 개인이 경험하고 해석하고 상상하는 방법을 통해 드러난다는 서사성 이론을 발전시켰다. 의미와 자아는 이야기를 통해서만, 그리고 이야기로 표현된 후에야 발전한다. 찰스 테일러 역시 자신이 누구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가 어떻게 지금의 내가 되었고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을 서사적으로 이해하는 일은 과거, 현재, 미래를 하나로 연결한다. 우리는 삶의 특정 사건 ..
자기대상화자를 위한 다음 단계 완벽한 몸을 갖고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상상하거나 희망하는가?충분히 매력적이지 않음으로 인해 가장 두려운 것은 무엇인가?외모에 대한 관심, 칭찬, 또는 인정을 바랄 때 당신이 정말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당신에게 멋진 외모가 그토록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당신을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떤 목적이 있는가? 성취지향자의 다음 단계 절제, 자제력, 노력으로 조각된 몸을 통해 당신이 해결하고 싶은 문제는 무엇인가?‘우수하다’, ‘옳다’는 인상이 당신에게 왜 그로톡 중요한가?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고 특권과 힘이 많아진다면 어떤 결과가 있으라라고 기대하는가?모두가 당신을 멋지고 우월한 사람으로 보게 하는 것의 목적은 무엇인가?엄격한 규율과 구조는 어떤 ..
19 주도력 : 주도적으로 질문하고, 자발적으로 답을 제시하고, 책에서 정보를 찾고, 수업 외 시간에 배우려는 빈도가 얼마나 되는가?친화력 : 또래와 얼마나 잘 어울리고 협력하는가?자제력 : 얼마나 잘 경청하고 수업을 방해하려는 충동을 억누르는가?결의 : 끊임없이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고, 주어진 과제 이상으로 배우려고 노력하고, 장애물에 직면했을 때 끈질기게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이는가? 26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길이 보이지 않으면 목적지에 도달하겠다는 꿈을 접는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의지에 불을 붙이려면 길을 보여줘야 한다. 33여러분의 잠재력을 가늠하는 진정한 척도는 여러분이 도달한 봉우리의 높이가 아니라, 그곳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먼 거리를 전진했..
28사실 완벽함(즉,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은 상태)이라는 개념은 우리의 생각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끈다. 우리가 현재 여기, 그러니까 별이 빼곡한 하늘을 동경하고 과학적으로 우주의 역사를 재건하는 지구에 있기에 이는 역산을 통해 내리는 판단이다. 같은 조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셀 수 없이 다양한 대체 가능한 결과물과 각본을 과소평가하기에, 결과에 기반한 판단은 진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장애물로 작동한다. 꼭 필요하고 완벽해 보이는 변칙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라면 설사 완벽하지 않더라도 완벽해 보이게끔 만든다. 심이어 현실을 뒤집어 보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우연의 역사를 사후에 돌아보면, 우리는 운명과 설계 그리고 몇 가지 사건을 선택적으로 골라내고 나머지를 무시하며 운명론적인..
22 호르몬 분배샘과 그 기능솔방울 샘 : 멜라토닌 생산 / 기능: 밤과 낮의 리듬과 수면의 질, 사춘기 이전까지 성호르몬 생산 억제뇌하수체 : 성장호르몬, 프로락틴, 황체형성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바소프레신으로 알려진 항이뇨호르몬(ADH)를 생산한다 / 기능: 호르몬을 생산하도록 다른 분비샘을 자극한다.감상샘 :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TRH)와 갑상샘 자극 호르몬(TSH)을 통해 티록신(t4)과 트리요오드티로닌(t3)을 생산한다 / 기능: 물질대사, 심장 박동, 체온을 조절한다.부갑상샘 : 뼈의 조직과 칼슘대사에 중요한 부갑상샘호르몬(PTH)을 생산한다위장 : 그렐린(배고픔 호르몬)과 가스트린(위장관 호르몬)을 생산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