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67)
STEADY BETTERMENT
20이 문제는 최선의 결정을 할 조건을 가지고 있는가? 그 조건을 갖추는데 부족한 정보는 무엇인가?어느 누구도 최적의 조건이 아닌 환경에서 최선의 선택을 할 수는 없다. 어려운 결정의 문제를 잘 해결하는 이는 결단력 있는 사람도 아니고, 정의로운 사람도 아니며, 머리가 좋은 사람도 아니다. 현명한 사람은 주어진 문제의 속성부터 살핀다. 즉 문제를 성급하게 해결하려 들기보다는 그 문제가 최선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만족시키는지를 먼저 파악한다. 만약 부족한 조건이 잇다면 이를 충족시킬 방법을 먼저 찾는다. 26어떤 문제에 맞닥뜨렸을 때 이를 바로 해결하기보다 자유도 관점에서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문제가 많은 옵셥(대안)을 가지고 있는지, 각 옵션의 결과는 얼마나 불확실한지 그 결과가 가져올 위중도는..
27불필요한 흥분은 일반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려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 어떤 사람들에게 흥분은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사람들이 당신을 비판하지 않기를 바란다면 흥분하는 모습으로 그 비판에 과잉반응하라. 그러면 사람들은 다시는 면전에서 당신을 비판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렇게 흥분하는 모습을 보이면 당신 뒤에서 하루종일 당신을 비판할 것이다. 341. 갈등을 예상하라2. 감정을 관리하라3. 당신과 대립하는 상대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라4. 당신이 틀릴 수 있음을 수용하라. 361. 명확한 기대치를 제시하라2. 책임 부여3. 뛰어난 성과에 대한 보상 38'온전히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 성공의 길이다. 사람마다 각기 다른 초능력을 지녔다. 자신의 초능력에 집중할 때 경력에 긍정적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zDXz/btsKlbbV6jr/pG3PjJBcOuXIOPge37AcN0/img.gif)
27리더는 미래를 내다보고 자신이 내린 결정의 결과를 시각화할 수 있는 사람이다. 또한 리더는 개인의 기호와 별개로 사실에 근거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이다. 인간적인 요소를 무시한다는 의미가 아니다(결코 무시해서는 안 될 일이다). 다만 항상 사실에 대한 사람들의 감정적 인식이 아닌, 사실 그 자체를 다루어야 한다는 말이다. 결정에 감정적 영향을 배제했다는 뜻이 아니라 그런 영향 때문에 궤도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37팀 내의 보고 체계를 살필 때는 당신에게 직접 보고를 하는 팀원이 얼마나 많은지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 숫자를 당신의 '통솔 범위'라고 한다. (중략)경험에 따르면 팀원의 숫자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만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는 안 된다. 당신에게 팀원 ..
36수렴성은 진화생물학에서 '모든 일에는 다 이유가 있어' 학파다. 우발성은 '어쩌다 그럴 수도 있지' 학파다. 52로렌즈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의 토대를 깨뜨리는 깨달음을 얻게 됐다. 조건이 통제되는 정확한 우주에서조차 기온을 100만 분의 1도 높인다거나 기압을 1조 분의 1바 올리는 것만으로도, 두 달 뒤에 맑고 청량한 하늘에서 장대비가 내리거나 심지어는 허리케인이 일어날 수 있다. 59우리는 그 무엇도 통제할 수 없지만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112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신경과학자인 앨리슨 바르트는 이렇게 설명했다. "우선은 넘치도록 많았다가 그 이후에는 가지치기를 통해 구성되는 연결망들이 훨씬 튼튼하고 효율적이다." 우리의 뇌는 우리에게 가장 유용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게 키질(wi..
16궁극적으로 탈진 상태를 극복하는 방법도 이와 같다. 우리의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재분배하여 어디에 사용할지를 의식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31자신의 내면, 판단, 반응, 다른 사람을 대하는 태도는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우리를 어떻게 판단하느냐를 비롯해 그 밖의 대부분의 일들은 통제할 수 없다. 32저항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느끼되, 지금 경험하고 있는 모든 일들을 열린 마음과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33우리가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패배주의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현명한 결정이다. 자신의 힘으로 바꿀 수 없는 것에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에너지를 절약하는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71뇌에서 통증 인식과 무통각(통증 완화 또는 억제)을 담당하는 영역에는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의 수용체가 모두 있다. 에스트로겐의 일종인 에스트라디올은 신호전달과 관련된 단백질을 조절하기 때문에 중추신경꼐의 구조적 측면과 분자 수준의 작용을 통제하는데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듯하다. 혈중 에스트로겐은 또한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편두통이 월경주지 중 특정 시기에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혈중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면서 세로토닌 감수성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성호르몬은 뇌, 척추 그리고 전신 말단의 신경 수용체와도 결합한다. 통증의 인식과 통증에 대한 반응을 조정하는 데 관여하며, 심지어 통증 반응을 관장하는 수용체들이 추가로 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