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68)
STEADY BETTERMENT
('디지털 정리의 기술'에서 발췌) 1. 할 일을 수집합니다. 2. 리스트를 읽으면서 '이 일은 실행할 수 있는 일인가?'라고 묻습니다. O -> 다음 스텝으로 X -> 1) 지운다 2) 언젠가 3) 참고 세가지 중 하나로 구분해 놓습니다. 3. 실행할 수 있는 일이라면 '다음 액션은 무엇인가?'를 묻습니다. 이 일을 하기 위해서 몇가지 일을 더 해야하는지 아니면 이 일은 하나로 완결지어지는지 생각합니다. 여러 일이 생각날텐데 그렇다면 그때에는 이 일은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프로젝트'로 구분합니다. 4. 다시돌아와 각각의 일들을 보면서 '2분만에 해결할 수 있는가?'라고 묻습니다. 여기에서 상당히 많은 일들이 해결됩니다. YES라면 더 이상 뒤로 미루지 말고 즉시 지금 그 일을 합니다 5. 2분 안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e8rJh/btqzkbofxTT/V4MymNT6Is8bRiZZm9ertK/img.png)
저자 : 나카시마 미스즈 1978년 후쿠오카 현에서 태어났다. 임상심리ㆍ인지행동치료법을 전공했으며 2001년 히로시마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연구 과정을 수료했다. 도쿄대학교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후쿠오카대학교 인문학부 등에서 강의하며 후쿠오카 보호관찰소 등에서 약물 의존 환자, 성 범죄자 집단인지행동치료법 감독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일일이 ‘타인’에게 휘둘리지 않는 마음 만드는 법》 《반가워, 나다움》, 옮긴 책으로 《인간관계의 고민 이젠 안녕》 등이 있다. p50.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은 개선한다. 불가능한 것은 사실로 받아들이고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생각한다. 인지행동요법은 복잡한 고민을 이렇게 심플하게 바꿉니다. p106. 과거를 툭툭 털어내는 법 고전적 조건형성이 성립되어 몸에 익숙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dYPz/btqzaYbO44N/6e8QPOGVCLnEBIgNWRmKpK/img.png)
저자 : 김병준 저자 김병준은 대한민국 대표 스포츠심리학자 재능과 기량은 뛰어난데 마음이 약해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는 스포츠 선수들의 멘털 코치. 국내 최초로 귀네슈 감독의 초청을 받아 FC 서울 프로축구단 심리상담역으로 활약했다. 스포츠 팀의 심리교육과 심리훈련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팀 응집력과 정신력을 끌어올려 강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전에서 최고의 수행을 펼쳐야 하는 골프, 야구, 탁구, 축구, 양궁, 피겨, 무용, 바둑 등 각종 종목의 선수들에게 자신만의 멘털 트레이닝을 통해 슈퍼 멘털을 갖추는 법을 전수해왔다. 따뜻하고 자상하지만 선수 개개인의 장단점을 날카롭게 파악하고 보완하는 그의 가르침을 받고 좌절과 방황을 접고 진로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세운 선수들이 수없이 많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J8od/btqy6S9p60f/uuiCuRFqLNx25Fpr3HfkqK/img.png)
저자 박진영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 《내 마음을 부탁해》 등,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의과대학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SELF-COMPASSION과 겸손HUMILITY, 마음 챙김MINDFULNESS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행복 연구를 배운다고 행복해지지 않고 자존감 연구를 배운다고 자존감이 향상되지 않지만, 자기 자신에 대한 너그러움 연구를 배우고서는 행복해질 수 있고 흔들리지 않는 건강한 자존감을 가질 수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제 삶을 가장 크게 변화시킨 심리학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p37...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5dEO/btqy1ImstgO/luDhVwq5bAvZV6RsA17VoK/img.png)
p.20 쪽의 뇌 내 물질 한 눈에 파악하기. 한 마디로 요약하면 관계 있는 감정, 기분 기타 관련 키워드 도파민 행복물질 행복, 쾌감 보수계 뇌 노르아드레날린 투쟁인가 도피인가 공포, 불안, 집중, 스트레스 반응 워킹메모리, 교감신경 아드레날린 흥분 물질 흥분, 분노 교감신경(낮 활동) 세로토닌 치유 물질 침착함, 평상심 마음의 안정, 공감 뇌 멜라토닌 수면 물질 회복 부교감신경(밤 활동) 니코틴, 시터파 아세틸콜린 기억과 학습 영감 향상 엔도르핀 뇌 내 마약 행복감, 황홀감 알파파 엔도르핀은 강력한 진통작용을 하는 뇌 내 물질이다. 모르핀과 비교하면 6.5배의 진통작용을 한다. 모르핀이라고 하면 마약의 일종이자 말기 암환자 등의 심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의료계에서도 쓰이는 진통제이다. 모르핀의 몇..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4HzXw/btqy29DIiXU/mzJO7zU4luedab1He65UNK/img.png)
p.20 쪽의 뇌 내 물질 한 눈에 파악하기. 한 마디로 요약하면 관계 있는 감정, 기분 기타 관련 키워드 도파민 행복물질 행복, 쾌감 보수계 뇌 노르아드레날린 투쟁인가 도피인가 공포, 불안, 집중, 스트레스 반응 워킹메모리, 교감신경 아드레날린 흥분 물질 흥분, 분노 교감신경(낮 활동) 세로토닌 치유 물질 침착함, 평상심 마음의 안정, 공감 뇌 멜라토닌 수면 물질 회복 부교감신경(밤 활동) 니코틴, 시터파 아세틸콜린 기억과 학습 영감 향상 엔도르핀 뇌 내 마약 행복감, 황홀감 알파파 심리학자 에밀 크레펠린은 일단 어떤 일을 시작했을 떄 마음이 점점 고조되어 정말로 의욕이 생기는 현상을 '작업흥분'이라고 불렀다. 하고자 하는 마음, 의욕, 신바람 같은 말로 표현되는 상태다. 무기력할 때 의욕이 생길 떄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OZANK/btqy34a0GG5/sMtemW5cWpJnmPhfsZxMrK/img.png)
p.20 쪽의 뇌 내 물질 한 눈에 파악하기. 한 마디로 요약하면 관계 있는 감정, 기분 기타 관련 키워드 도파민 행복물질 행복, 쾌감 보수계 뇌 노르아드레날린 투쟁인가 도피인가 공포, 불안, 집중, 스트레스 반응 워킹메모리, 교감신경 아드레날린 흥분 물질 흥분, 분노 교감신경(낮 활동) 세로토닌 치유 물질 침착함, 평상심 마음의 안정, 공감 뇌 멜라토닌 수면 물질 회복 부교감신경(밤 활동) 니코틴, 시터파 아세틸콜린 기억과 학습 영감 향상 엔도르핀 뇌 내 마약 행복감, 황홀감 알파파 한 연구에 따르면 성적이 상위 10%인 우수한 학생의 수면시간을 7시간 이하로 줄였더니 하위 9%까지 떨어졌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5일 연속으로 수면시간을 5시간 이하로 줄였더니 48시간동안 잠을 자지 않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bgZS/btqyWWjONNh/wPCIvIcUIXXsKAvMb4jexk/img.png)
p.20 쪽의 뇌 내 물질 한 눈에 파악하기. 한 마디로 요약하면 관계 있는 감정, 기분 기타 관련 키워드 도파민 행복물질 행복, 쾌감 보수계 뇌 노르아드레날린 투쟁인가 도피인가 공포, 불안, 집중, 스트레스 반응 워킹메모리, 교감신경 아드레날린 흥분 물질 흥분, 분노 교감신경(낮 활동) 세로토닌 치유 물질 침착함, 평상심 마음의 안정, 공감 뇌 멜라토닌 수면 물질 회복 부교감신경(밤 활동) 니코틴, 시터파 아세틸콜린 기억과 학습 영감 향상 엔도르핀 뇌 내 마약 행복감, 황홀감 알파파 기상 후 2-3시간을 '뇌의 골든타임'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뇌가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시간대이기 때문이다. 그 시간대에 무엇을 하느냐로 하루 동안 할 수 있는 업무의 양과 질이 결정된다. 평범한 직장인이 뇌의 골든 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