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68)
STEADY BETTERMENT
그라운딩/ 센터링 182 스토리텔링 훈련 이야기에는 주요 등장인물과 갈등상황, 결정적 순간과 변화나 반전이 포함된다. 사람들은 자신과 연관을 지을 수 있는 상황의 묘사와 마치 그 속에 있는 것처럼 이야기를 심상으로 떠올리는 데 도움을 주는 상상에 의해 빠져든다. 이야기에 뼈대를 만드는 좋은 방법은 'sees'이다. 상황 : 어디에 있는가? 장면을 묘사한다. 사건 :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감정 : 당신과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가? 이 감정이 어떻게 변하는가? 중요성 : 이것을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메세지는 무엇인가? 211 자유 호흡법 - 수고한 후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자유롭게 숨을 들이 마시고 내쉰다(안도의 한숨) 긴장의 지도(mot) - 긴장이 쌓인 문제 부위를 찾기 위..
25 "여러 행동을 순서대로 연결해 목표를 이룰 방법을 알아내는 능력은 우리가 세상을 인과적으로 이해하는 기반이 된다." 46 목 경동맥의 혈류를 측정한 결과, 모든 형태의 유산소 운동은 뇌로 향하는 혈류를 단기적으로라도 20-25% 정도 늘렸다. 72 "자신의 잠재력에 못 미치는 체력으로 살아가며 정신적-정서적인 이득을 놓치고 있는 여성이 많다." - 진 바렛 홀로웨이 152 그는 '심인성' 질환이라는 꼬리표가 붙었던 질환들이 실은 정신-신체 상호작용의 기능장애로 보이며, 코어 근육의 단련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165 atp를 세포 내에서 에너지 방출의 통화 역할을 하는 분자로 기억할 것이다. 하지만 세포 바깥에 있을 때 atp는 조직 내 염증 수치를 관리하는 등 다른 일을 한다. 또 부수적..
27 당신은 회사가 지향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설정한 이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계획, 일정, 측정 기준 등을 직원들에게 간결하고 기억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가? 30 기본적으로 '단순한 계획'의 목적은 모든 직원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두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주는 것이다. "내가 할 일은 무엇인가?" 그 일은 왜 중요한가?" 게다가 그 대답은 한가지 필수적인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바로 명료해야 한다는 거죠." 37 우리의 사업 목표를 단 한 줄의 핵심 메세지로 표현한다면? 우리가 진행 중인 세가지 핵심 조치는? 우리 앞에 닥친 세가지 도전은? 향후 12개월 동안 우리의 성공을 측정하는 기준은? 38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다섯 개 업체가 경쟁하는 상황에서 그 사람이 당신 회사를 선택해야 ..
70 불일치에서 복구로의 이행을 성공적으로 경험해본 아기는 무표정 실험의 스트레스에 직면할 때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처리하려 한다, 손가락으로 무엇을 가리키거나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등 다양한 행동으로 다시 연결을 맺으려 시도한다. 이때 아기는 행위 주체성, 즉 자신이 스스로 인생을 통제할 수 있으며 자기 세계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ㅎ미을 가지고 있다는 의식을 드러내는 셈이다. 만약 아기가 이 경험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엄마가 왜 나를 모르는 척하는지 모르겠찌만 내가 계속 시도하면 엄마의 주의를 끌 수 있다는 걸 난 알아." 착오에서 재연결로 이어지는 수많은 순간을 경험한 아기는 무력감을 느끼는 대신 세계와 희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습득한다. 77 복잡성..
75 가지고 있지도 않고 필요하지도 않은 돈을 벌기 위해서 그들은 자신이 가진것, 필요한 것을 걸었다. 이는 바보 같은 짓이다. 그냥 순전히 바보같은 짓이다. 당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무언가를 위해서 당신에게 중요한 무언가를 건다는 것은 그냥 말도 안되는 짓이다. - 워랫버핏 78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면 그 천장은 너무 높아서 사실상 아무도 닿을 수 없다. 절대로 이길 수 없는 싸움이다. 유일하게 이기는 방법은 처음부터 싸움을 하지 않는 것이다. 내가 가진 게 주변 사람보다 적더라도 말이다. 80 명성이란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자유와 독립은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가족과 친구는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날 사랑해주길 바라는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일은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27 우리를 위축시키는 사고방식뿐만 아니라 건강과 행복에 대해 스스로 설정한 한계로부터 자유로워져, 몸소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 수호자가 되는 일의 중요성을 깨닫자는 것이다. 변화의 방법을 배우려면 먼저 어떻게 잘못된 길을 가고 있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35 가능성의 심리학은 우리가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현재의 상태보다는 우리가 원하는 모습을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다. 그렇게 시작해야 어떻게 목표에 도달할지 또는 목표 쪽으로 전진할지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각을 약간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가 잠재성을 제한하는 문화와 언어, 사고방식에 얼마나 얽매여 있는지 일단 깨닫고 나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많은 사람이 '시..
페이지 모름) 지나치게 많은 일에 신경쓰는 것은 정신건강에 해롭다. 좋은 삶을 살려면 더 많이 신경쓸 게 아니라 더 적게 신경써야 한다. 물질과 가치가 너무나 많다보니, 우리는 정작 어디에 신경을 쓸지 갈피를 못 잡는다. 부정추구는 긍정을 낳는다. 체육관에서 고통을 추구하면 그 결과로 활력을 얻는다. 공포와 불안을 겪고 나면, 용기와 인내를 얻을 수 있다. 가치 있는 것을 얻으려면, 그에 따르는 부정적 경험을 극복해야 한다. 목표에 따른 역경에 신경쓰지 않음 근본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에 신경을 끄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어떤 일이든 그저 웃어넘기고 자신이 믿는 바를 행하는 사람들. 그들은 자신이 믿는 바가 자신의 느낌과 자존심과 자아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안다. 중요한 문제에 신경쓰자. 의미있는 일에 ..
61 코끼리의 언어에서 가장 중요한 말들은 '좋아하다'와 '싫어하다' 또는 '접근하다'와 '물러나다'이다. 가장 단순한 동물도 매순간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항시 머리 속의 '좋고 싫음의 측정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런 결정을 힘들이지 않고 자동적으로 내린다. 이해득실을 따질 필요도 없고 논리체계도 불필요하다. 단지 순간적인 쾌감이나 불쾌감만으로 충분하다. 72 한 사람의 평균적인 또는 전형적인 행복수준의 그 사람의 감정양식이다. 감정양식은 그의 접근체계와 후퇴체계 사이의 일상적인 힘의 균형을 반영한다. 74 우리는 우리의 감정양식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의지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우리가 자주 하는 생각들의 레퍼토리를 바꿀 수 있는 뭔가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세 가지 방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