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 BETTERMENT

필사) 어떤 회사를 위해, 무엇을 할, 누구를 뽑을 것인가? 'ceo의 일' 본문

BOOK

필사) 어떤 회사를 위해, 무엇을 할, 누구를 뽑을 것인가? 'ceo의 일'

_포코 2022. 8. 4. 18:41

27

당신은 회사가 지향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설정한 이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계획, 일정, 측정 기준 등을 직원들에게 간결하고 기억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가?

 

30

기본적으로 '단순한 계획'의 목적은 모든 직원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두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주는 것이다. "내가 할 일은 무엇인가?" 그 일은 왜 중요한가?" 게다가 그 대답은 한가지 필수적인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바로 명료해야 한다는 거죠."

 

37

우리의 사업 목표를 단 한 줄의 핵심 메세지로 표현한다면? 우리가 진행 중인 세가지 핵심 조치는? 우리 앞에 닥친 세가지 도전은? 향후 12개월 동안 우리의 성공을 측정하는 기준은? 

 

38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다섯 개 업체가 경쟁하는 상황에서 그 사람이 당신 회사를 선택해야 하는 원대하면서도 구체적인 이유를 일목요연하게 제시해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일이 벌어졌을 때 승리를 위한 당신의 계획은 무엇인가?

 

42 우선순위보다 결과에 집중하라

"우리는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논의의 틀을 짜기보다는 당신 자신에게 이렇게 물어보라.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향후 12개월 동안 우리의 계획을 성취하는 데 필수적인 3-4개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모든 대상에 수치화된 측정지표를 적용할 필요는 없지만 문제는 어떤 목표가 됐건 우리가 이를 달성했느냐, 또는 그 목표를 추구하는데 필요한 세부 사항들을 파악하고 있느냐 하는 겁니다. 

 

54

리더의 책무는 복잡성을 단수화함으로써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분배해 균형을 잡는 것이다. 당신에게는 누구나 이해하고 쉽게 기억할 수 잇으며, 가자가 어떻게 성공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간결한 언어로 제시하는, 승리를 위한 단순한 계획이 필요하다. 

 

61

성공적인 기업문화는 직원들의 자아관 속에 깊숙이 자리 잡는다. 특히 회사의 비즈니스 목표와 조직 구성원의 정체성이 연계되는 방향으로 기업문화가 정착한다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69

따라서 내가 가치를 표현한다는 것은 당신이 직장에 출근했을 때 어떤 느낌을 받는지를 가장 적합한 언어로 옮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97

기능장애에 빠진 팀이 조직의 기능을 회복하고 효과적인 팀을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테스트를 통과하려면, 리더들은 언뜻 보면 간단한 것 같지만 사실상 매우 까다로운 네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한다. 

팀을 구성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누가 팀의 구성원이 되야 하는가?

팀은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가?

리더는 팀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113

우리는 처음부터 한 팀이다

우리는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에게 의지한다. 

우리는 수평적으로 일한다

우리는 모호함을 용납하지 않으며, 우리 자신과 조직을 위해 타인의 모범이 되는 명료한 의사결정을 내린다.

우리는 옳음을 확인하기 위해 말하고, 그릇됨을 돌아보기 위해 듣는다. 모두가 함께 결정하고, 약속하고, 이끌어 나간다. 

우리는 서로의 발전을 돕는다.

우리는 항상 교류하며 동료의 성공을 함께 기뻐한다. 

우리는 조직을 건전하게 지속시키고, 서로를 지원하며 삶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다. 

 

129 혁식을 도입하려는 조직에게

논쟁의 여지가 없는 혁신의 계획을 수립하고 현상 유지에 매달리는 일이 더 이상 선택지가 될 수 없는 이유를 모든 사람에게 납득시킨다. 

조직의 사명과 목적처럼 앞으로도 절대 바뀌지 않을 불변의 가치가 무엇인지 분명히 밝힌다. 

조직의 전체 구성원과 함께 혁신의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공동의 주인의식을 배양한다

최고 경영진으로부터 혁신을 추진하는 데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낸다. 이를 통해 책임소재를 명확히 규정하고 계획의 진척도 점검과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스코어보드를 개발한다

미래가 불확실할수록 혁신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직원들에게 강조하고 당신의 조직이 빠른 속도로 변화에 적응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을 북돋는다. 

 

154

그는 채용 후보자나 잠재 투자자와 대화를 나눌 때 최상의 시나리오를 내밀며 그들을 설득하려 애쓰기보다 앞으로 회사에 닥칠 도전을 이야기하며 오히려 겁을 준다. "회사가 처한 상황을 과장되게 긍정적으로 포장하는 대신 좋은 점, 나쁜 점, 추한 점 등을 솔직하게 얘기해야 정말 회사에 문제가 닥첬을 때 한 배를 타고 항해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있습니다. 아직도 이 팀에 근무하고 있는 최고의 직원들은 면접 때 그런 이야기를 듣고 이렇게 대답한 사람들입니다. '충분히 해결이 가능한 문제네요. 시간은 조금 걸리겠지만, 한 번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167

어떻게 하면 내가 꼭 알아야 할 일을 알아 낼 수 있을까?

 

183

케빈은 이사회와 중요한 회의를 마친 뒤에는 항상 논의 사항을 요약하고, 이사들이 제시한 의견을 확인하고, 자신이 다음 단계로 취할 조치를 문서로 작성해 모두에게 발송했다. "이를 통해 당신이 이사들의 말을 경청했고 그들의 입장을 존중하고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며, 앞으로 당신이 어떤 행동을 취할지 분명히 밝힐 수 있습니다. 

 

231

'이곳이 우리가 오를 산입니다. 이 지점이 우리가 걷고 있는 길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이 해야 하는 일이며, 이것이 그 일을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327

조직이 혼란스러운 상황을 원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그렇다고 항상 일사분란하게 움직여서도 안 된다. 진정한 의미의 창의성은 혼란스러움을 인내하는 능력, 그리고 혼란으로부터 도출된 아이디어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발전을 체계적으로 도모하는 역량으로부터 나온다. 창의성은 두렵고 무질서해 보일 수 있다. 

 

243

리더는 너무 쉬운 목표와 너무 야심찬 목표 사이의 어디쯤에 해당하는 현실적인 목표를 균형있게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