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68)
STEADY BETTERME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kyWv/btqwuak4Hv5/qzV9VdHUFstFwaCUGMEpU1/img.png)
저자 : 저드슨 브루어 저자 저드슨 브루어는 매사추세츠대 의과대학의 마음챙김센터장.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생화학을 전공하고 워싱턴대 의과대학에서 의사-박사(MD-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매사추세츠대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부교수이자 예일대 의과대학 초빙교수로 있으며 매사추세츠대 공과대학(MIT)에서 뇌-인지과학 연구 제휴를 하고 있다. 정신의학과 임상수련의 시절부터 20년간 마음챙김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람의 심리 상태를 개선하는 데 어떤 작용을 하는지 연구해왔다. 중독 심리학을 연구하는 한편 오랫동안 마음챙김 명상을 수행하면서 마음챙김 명상법의 토대가 되는 고대 불교 경전들을 파고들었다. 그는 중독, 자아상, 욕망의 속성에 관한 현대 심리학과 불교 이론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고 그 해법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wMOV/btqwb2mL2Fh/uox096cWfHhyEz3HeFPlfK/img.jpg)
저자 : 고바야시 히로유키 이력 준텐도(順天堂)대학 의대 교수. 일본체육협회 공인 스포츠 닥터. 1960년 사이타마현에서 태어났다. 1987년에 준텐도대학 의대를 졸업하고 1992년 동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를 수료했다. 런던대학 부속 영국왕립 소아병원 외과, 트리니티대학 부속 의학연구센터, 아일랜드 국립 소아병원 외과를 거쳐 준텐도대학 소아외과 강사, 조교수를 역임했다. 일본 자율신경 연구의 1인자로 수많은 프로 운동선수, 아티스트, 문화인들의 건강 관리와 능력 향상 및 지도에 힘쓰고 있다.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출간했으며, 누계 발행부수 200만 부를 돌파했다. 주요 저서로 『자율신경을 바로잡는 포기 건강법』 『왜 이것이 몸에 좋을까?』 『하루 세 줄 마음 정리법』 『이것만 의식하면 건강해진다』 『컨디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5mruq/btqv95dE9Tk/6h3ckN3H4HAIujnPqkyTJ1/img.jpg)
저자 : 쓰루타 도요카즈 이력 행동 심리 컨설턴트이자 일반사단법인 본질력개발협회 대표이사이다. 무명 IT 기업과 인재 알선 중소기업에서 일하다가 마이크로소프트 인사팀 채용 담당자로 입사해 수천 명을 면접했다. 사내에서 상위 3% 이내의 인재 채용 성과를 올려 아시아골드클럽어워드Asia Gold Club Award를 수상했다. 이후 독립하여 ‘누구나 무리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결과를 낼 수 있는’ 행동 심리 메소드 에센셜 코드’를 보급하고 있다. 지금까지 1만 명 이상에게 천직을 찾고 꿈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현재는 세계적 스피커들과 함께 행동 심리 컨설턴트 겸 강연가로 주목받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시리즈 누적 발행 부수 20만 부를 기록한 《귀찮음이 사라지는 책》 《지루함이 사라지는 책》 등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JNDHx/btqu6zM6DiY/sAT28Eu9kWnR9POTy0UOE0/img.png)
신경전달물질인 뉴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성상세포의 기능 성상세포가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수준이 높아진다면 뉴런의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운동 시에 성상세포 수준이 뇌의 각 부위에서 떨어지게 되고 강하고 격렬한 운동 이후에 성상세포의 에너지 수준이 정상괴도로 돌아오면서 초과회복되는 경향을 위의 도식(FIG.4)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는 신체활동이 직접적으로 뇌에 영향을 주는 증거로서 신체활동을 통해 성상세포의 레벨이 높아지고 이는 성상세포의 에너지 공급에 영향을 받는 해마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는 기억, 학습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운동이 기억력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는 강하고 격렬한 운동을 했을 때 성상세포의 에너지 수준에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Az2l/btqu61I5qjO/1NAyVumdknRkIlQc2SV781/img.png)
운동이 기억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들은 많았으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러한 변화가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뇌과학 분야가 성장하면서 관련된 개념이 구체화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화두가 되는 것이 astrocyte:성상세포이다. 본 아티클은 성상세포의 개념을 확인하고, 이것이 운동행동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논문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성상세포 Astocyte (김규원, 2004) -위치 신경세포와 근접하여 위치하고 시냅스말단을 싸고 있으며, 혈관 내피세포와 근접하게 위치하여 뇌혈관관문 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또한 성상세포간에도 gap junction을 매개로 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다. -역할 1. 신경세포가 분비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적절하게 제거 2. 뇌내의 이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7Zq4e/btquZAlch0S/GoJ8kNo0wkqDfNkewLgynk/img.jpg)
Whole Body Coordination and Knee Movement Control During Five Rehabilitation Exercises Deursen. Journal Of Motor Behavior (2017-01-31) p. 1-10. ISSN: 0022-2895 연구 목적 무릎 재활 연구의 경우 무릎관절에만 국한되어 의학적 관점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과제에 따른 전신의 협응과 함께 무릎 관절의 movement fluency, displacement variability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릎의 재활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 개념 재활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 1. Fluency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특성, 다관절 운동의 협응 통제 지표. 이 실험의 경우 랜..
p14 현대인은 누가나 자신이 속한 사회와 집단, 국가적 상황에 따라, 혹은 그 구성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주 분노하고 상처받고 불안감을 느끼면서 살아간다. 일상에서 무너진 정신을 추슬러 평상심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온전히 개인의 몫이다. 현대인들의 생활 속 다양한 위기들애서 이 책이 슬기로운 대응책이 되어주기를 바란다. p22 자기 몸을 보살피는 데 반드시 오랜 시간과 돈을 들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다. 여기에 소개된 훈련들은 대부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하루를 지내면서 짬짬이 휴식을 취하듯, 중압감을 덜어내고 힘을 회복하기 위한 이 훈련들을 일상속에서 아주 쉽게 실천하기를 바란다. 책의 표지와 목차를 봤을 때 그다지 큰 감명이 없었다 하지만 '심리치유 운동법'이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zWYSR/btqu0TD8JIq/zpmGkkmqWhzvveB0jknKP1/img.jpg)
9 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박영진, 이재석, 석명규, & 구본호.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25(5), 1227-1239. 연구 목적 코어운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고령자 및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동의 효과검증에 편중되어 있고 운동시 저항운동이나 도구를 사용하는 운동을 복합적으로 처치하는 방법이 많았다 순수한 코어 운동(맨몸운동)이 20대 여성의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함 20대의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에 대한 표준데이터를 제공 연구 방법 실험군 : 9명의 신체나 정신적 질환이 없는 20대 여성 (이탈자 14명 중 3주 미만으로 참여한 사람 3명이 대조군 데이터 제공) 정적균형능력 : 초시 때는 눈을 가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