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 BETTERMENT
Whole Body Coordination and Knee Movement Control During Five Rehabilitation Exercises - 논문 리뷰 본문
Whole Body Coordination and Knee Movement Control During Five Rehabilitation Exercises - 논문 리뷰
_포코 2019. 5. 9. 12:00Whole Body Coordination and Knee Movement Control During Five Rehabilitation Exercises
Deursen. Journal Of Motor Behavior (2017-01-31) p. 1-10. ISSN: 0022-2895
연구 목적
무릎 재활 연구의 경우 무릎관절에만 국한되어 의학적 관점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과제에 따른 전신의 협응과 함께 무릎 관절의 movement fluency, displacement variability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릎의 재활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 개념
재활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
1. Fluency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특성, 다관절 운동의 협응 통제 지표. 이 실험의 경우 랜드마크가 전두면에서 움직일 때 초당 랜드마크 움직임 평균의 역으로 계산.
- 이전 연구에서 과제를 주었을 때 ACL 손상그룹이 전두면에서 fluency가 가장 떨어졌으며, ACLD(ACL-difficiency) 그룹과 ACLR(ACL-reconstruction) 그룹이 동일한 결과가 나왔으나 최근 다양한 과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ACLD그룹과 ACLR그룹의 fluency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 과제에 따라 재활과정에서 무릎의 fiuency의 차이가 나타난다.
2. Variability
- 자세 안정성을 판단하는 기본적인 요소. 움직임의 진동을 어떻게 통제하느냐를 알아볼 수 있다. 전두면에서의 COM의 변화량. 부분의 협응과 함께 전신의 시너지 작용을 알 수 있다.
- 팔다리와 몸통이 전두면에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복잡한 움직임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작용하며 보행을 유지하는데 각 부분은 연관되어 있을 것이다.
가설
가설1 : fluency와 displacement variability에서 과제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 운동제어 시스템 안에서 팔다리와 몸통의 fluency는 최대고 displacement variability는 최소일 것이다
가설3 : 무게를 견디는 무릎의 fluency와 variablity는 과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
신체에 랜드마커를 붙이고 VICON PiugInGait를 이용해 5가지의 운동을 할 때의 fluency와 variability를 측정
5가지 재활운동 :
-
WLK : walking
-
JOG : jogging
-
DLS: double leg squatting
-
SLS : single leg squatting
-
HOP : single leg hopping
연구결과
: 과제와 신체 분절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과제에 fluency와 variability는 종속된다.
->과제에 따라 신체 분절에 기여하는 정도가 다르다. 안정성을 담보하기 균형과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움직임 과제가 필요하다
'RESOUR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상세포와 신체활동 (2) (0) | 2019.05.11 |
---|---|
성상세포와 신체활동 (1) Increased astrocyte proliferation in rats after running exercise 논문 리뷰 (0) | 2019.05.10 |
9 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리뷰 (0) | 2019.05.07 |
운동 중 번연계와 전전두엽의 관계 (0) | 2019.05.05 |
움직임과 감정 (0) | 201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