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 BETTERMENT
9 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리뷰 본문
9 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박영진, 이재석, 석명규, & 구본호.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25(5), 1227-1239. |
연구 목적
코어운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고령자 및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동의 효과검증에 편중되어 있고 운동시 저항운동이나 도구를 사용하는 운동을 복합적으로 처치하는 방법이 많았다
-
순수한 코어 운동(맨몸운동)이 20대 여성의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함
-
20대의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에 대한 표준데이터를 제공
연구 방법
실험군 : 9명의 신체나 정신적 질환이 없는 20대 여성
(이탈자 14명 중 3주 미만으로 참여한 사람 3명이 대조군 데이터 제공)
<측정 방법>
-
정적균형능력 : 초시 때는 눈을 가리고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여 2번 측정
-
보행균형능력 : GAITRite system을 사용하여 10m 보행 중 일부(3m) 구간의 시공간적 파라미터를 측정 (일반보행속도/최대보행속도 3회씩 측정)
Step swing asymmetry : 각 시기별 swing의 차이
Step stance asymmetry : 각 시기별 stance의 차이
Step width : step length의 차이로 양발의 footprint 중점 사이 거리
-
최고보행속력 :10m/t로 계산 후 하지장 길이로 나누어 표준화 / 3회 측정 후 평균값 사용
연구결과
1) 정적균형능력에서 외발서기 시간에 유의한 증가(왼발: p=.021, 오른발: p=.015)를 나타냈다.
2) 정적균형능력에서 전후방향의 COP범위와 표준편차에 유의한 감소(왼발: p=.038)를 나타냈다.
3) 보행균형능력은 평소보행속력에서 step width가 유의하게 증가함(오른발: p=.004)을 나타냈다.
4) 보행균형능력은 최고보행속력에서 step width가 유의하게 증가함(왼발: p=.011, 오른발: p=.012)
5) 최고보행속력은 유의하게 증가함(p=.033)을 나타냈다.
->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와 같은 결과는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자세를 제어하며 균형을 유지하
는 능력을 향상시켜 신체의 협응력을 개발하고, 보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
'RESOUR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상세포와 신체활동 (1) Increased astrocyte proliferation in rats after running exercise 논문 리뷰 (0) | 2019.05.10 |
---|---|
Whole Body Coordination and Knee Movement Control During Five Rehabilitation Exercises - 논문 리뷰 (0) | 2019.05.09 |
운동 중 번연계와 전전두엽의 관계 (0) | 2019.05.05 |
움직임과 감정 (0) | 2019.05.04 |
BMT 코칭론 ( brain & movement training coaching method) (0) | 2019.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