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ESOURCE (20)
STEADY BETTERME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zWYSR/btqu0TD8JIq/zpmGkkmqWhzvveB0jknKP1/img.jpg)
9 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박영진, 이재석, 석명규, & 구본호.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25(5), 1227-1239. 연구 목적 코어운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고령자 및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동의 효과검증에 편중되어 있고 운동시 저항운동이나 도구를 사용하는 운동을 복합적으로 처치하는 방법이 많았다 순수한 코어 운동(맨몸운동)이 20대 여성의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함 20대의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에 대한 표준데이터를 제공 연구 방법 실험군 : 9명의 신체나 정신적 질환이 없는 20대 여성 (이탈자 14명 중 3주 미만으로 참여한 사람 3명이 대조군 데이터 제공) 정적균형능력 : 초시 때는 눈을 가리고..
인간의 의식적인 사고는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에서 시작된다. 전전두피질은 모든 행동을 결정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감정의 조절, 주의 집중등 다양한 습관적 인지기능을 책임지는 곳이다 또한 전전두피질은 외적 자극이나 스트레스, 내재적 목표나 습관적 인지기능을 책임지는 곳이기도 하다. 움직임에 대한 의사결정 관정에서 전전두피질(PFC)은 관련 정보를 전운동 피질로 전달하고 전운동 피질은 운동피질로 그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변연계의 기저핵을 거쳐 척수를 타고 말초신경까지 도달하고 결국 우리가 원하는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PFC -> 전운동피질 -> 운동피질 -> 번연계의 기저핵 -> 척수 -> 말초신경 -> 움직임 발현 변연계는 인간이 어떤 사고와 행동을 할 떄 이..
기쁜 상황을 상상하면 만세를 하고 싶고 소리를 지르고 싶은 기분이 듭니다 또 화나는 상황을 생각하면 주먹을 꽉 쥐고 싶기도 하고 소리를 지를고 싶은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움직임을 동반하지 않은 감정은 가능할까요? 제자리에 멈추어 아무런 변화 없이 너무 기쁘다거나 너무 슬픈 것이 가능할까요? 인간은 스스로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내재적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이를 인식/인지(Perception)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매일 직면하는 수많은 사건들을 자신의 인지에 근거하여 해석하며 그 해석과정에서 우리는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우리는 현대과학을 통해 '감정의 형성'과 '움직임 패턴 형성'이 뇌신경학적으로 같은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감정과 움직임은 분리되는 것..
움직임은 근육이 만든다 그렇다면 근육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근육 또한 우리 몸의 컨트롤 타워인 뇌에서 움직임을 관장한다. 따라서 근육의 움직임이 어떤 '신경생리학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작용하는지 아는 것은 몸을 잘 쓰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BMT 코칭론이란 궁극적인 습관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적응'에 대한 뇌의 신경생리학적 반응과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행동 유형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전략적 접근법이다. - 새로운 습관을 배우고 - 삶에 대한 태도를 바꾸며 -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높이며 -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것 트레이너는 회원이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고 자신의 신체와 움직임에 대한 인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고객의 행동 유형을 이해하고 회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