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OOK (209)
STEADY BETTERMENT
70 불일치에서 복구로의 이행을 성공적으로 경험해본 아기는 무표정 실험의 스트레스에 직면할 때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처리하려 한다, 손가락으로 무엇을 가리키거나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등 다양한 행동으로 다시 연결을 맺으려 시도한다. 이때 아기는 행위 주체성, 즉 자신이 스스로 인생을 통제할 수 있으며 자기 세계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ㅎ미을 가지고 있다는 의식을 드러내는 셈이다. 만약 아기가 이 경험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엄마가 왜 나를 모르는 척하는지 모르겠찌만 내가 계속 시도하면 엄마의 주의를 끌 수 있다는 걸 난 알아." 착오에서 재연결로 이어지는 수많은 순간을 경험한 아기는 무력감을 느끼는 대신 세계와 희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습득한다. 77 복잡성..
75 가지고 있지도 않고 필요하지도 않은 돈을 벌기 위해서 그들은 자신이 가진것, 필요한 것을 걸었다. 이는 바보 같은 짓이다. 그냥 순전히 바보같은 짓이다. 당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무언가를 위해서 당신에게 중요한 무언가를 건다는 것은 그냥 말도 안되는 짓이다. - 워랫버핏 78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면 그 천장은 너무 높아서 사실상 아무도 닿을 수 없다. 절대로 이길 수 없는 싸움이다. 유일하게 이기는 방법은 처음부터 싸움을 하지 않는 것이다. 내가 가진 게 주변 사람보다 적더라도 말이다. 80 명성이란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자유와 독립은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가족과 친구는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날 사랑해주길 바라는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일은 말할 수 없이 귀중한 것이다...
27 우리를 위축시키는 사고방식뿐만 아니라 건강과 행복에 대해 스스로 설정한 한계로부터 자유로워져, 몸소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 수호자가 되는 일의 중요성을 깨닫자는 것이다. 변화의 방법을 배우려면 먼저 어떻게 잘못된 길을 가고 있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35 가능성의 심리학은 우리가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현재의 상태보다는 우리가 원하는 모습을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다. 그렇게 시작해야 어떻게 목표에 도달할지 또는 목표 쪽으로 전진할지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각을 약간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가 잠재성을 제한하는 문화와 언어, 사고방식에 얼마나 얽매여 있는지 일단 깨닫고 나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많은 사람이 '시..
페이지 모름) 지나치게 많은 일에 신경쓰는 것은 정신건강에 해롭다. 좋은 삶을 살려면 더 많이 신경쓸 게 아니라 더 적게 신경써야 한다. 물질과 가치가 너무나 많다보니, 우리는 정작 어디에 신경을 쓸지 갈피를 못 잡는다. 부정추구는 긍정을 낳는다. 체육관에서 고통을 추구하면 그 결과로 활력을 얻는다. 공포와 불안을 겪고 나면, 용기와 인내를 얻을 수 있다. 가치 있는 것을 얻으려면, 그에 따르는 부정적 경험을 극복해야 한다. 목표에 따른 역경에 신경쓰지 않음 근본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에 신경을 끄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어떤 일이든 그저 웃어넘기고 자신이 믿는 바를 행하는 사람들. 그들은 자신이 믿는 바가 자신의 느낌과 자존심과 자아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안다. 중요한 문제에 신경쓰자. 의미있는 일에 ..
61 코끼리의 언어에서 가장 중요한 말들은 '좋아하다'와 '싫어하다' 또는 '접근하다'와 '물러나다'이다. 가장 단순한 동물도 매순간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항시 머리 속의 '좋고 싫음의 측정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런 결정을 힘들이지 않고 자동적으로 내린다. 이해득실을 따질 필요도 없고 논리체계도 불필요하다. 단지 순간적인 쾌감이나 불쾌감만으로 충분하다. 72 한 사람의 평균적인 또는 전형적인 행복수준의 그 사람의 감정양식이다. 감정양식은 그의 접근체계와 후퇴체계 사이의 일상적인 힘의 균형을 반영한다. 74 우리는 우리의 감정양식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의지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우리가 자주 하는 생각들의 레퍼토리를 바꿀 수 있는 뭔가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세 가지 방법은 ..
55 감정 뇌가 의식 차를 모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우리를 행동하게 하는 것은 오직 감정이기 때문이다. 행동이 곧 감정이기 때문이다. 분노는 몸을 움직이게 한다. 불안은 몸을 불러서게 한다. 기쁨은 얼굴 근육을 환하게 하고, 슬픔은 존재에 그림자를 드리우려 한다. 감정은 행동을 불러일으키고, 행동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자기통제의 모든 문제는 규율이나 이성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의 문제다. 자기 통제의 문제는 정보나 규율, 이성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의 문제다. 게으름도 감정 문제다. 미루는 버릇 역시 감정 문제다. 능력 이하의 성과를 내는 것도 감정 문제다. 충동도 감정 문제다. 생각 뇌는 감정 뇌를 통제할 수 없지만 영향을 줄 수는 있다. 생각 뇌는 감정 뇌를 설득해서 더..
51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잇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금 알지도 모르겠지만 그 일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확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말로 받아들이면 어떨까? 그게 바로 불필요한 부분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순수한 진실이다. 그걸 인정할 수 있다면 '확실하지 않다'는 말이 그다지 나쁜 말처럼 들리지는 않을 것이다. 53 의사가 눈금이 단 두개, 100킬로그램과 10킬로그램만 표시되어 있고 그 사이의 무게는 전혀 알 수 없는 체중계를 가져왔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그런 식으로 당신의 몸무게를 측정해 제대로 된 의학적 조언을 하기란 불가능할 것이다. 당신은 병적인 비만이 되거나 심각한 저체중이 되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그렇게 형편없는 측정 모델로는 자신의 몸무게에 대해 좋은 의사결정을 내..
179 자동적 사고를 다스리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자신을 기분 나쁘게 만드는 자동적 사고를 다스리는 데는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이 자주 사용된다. 이 방법은 진리를 찾는 방법응로 흔히 인용되는 것이다. 1. 증거는 무엇인가?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무엇인가? 아니면 이 생각에 반하는 증거는 무엇인가를 찾아보는 것이다. 자신이 찾아낸 자동적 사고의 내용이 진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무엇인지, 잘못된 내용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무엇인지를 찾아내어 자신의 옳고 그름을 따져보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어떤 사건이 터지면 경찰이 나서서 자동적 사고라는 범인을 잡고, 경찰은 자동적 사고를 검찰로 송치하고, 검사는 자동적 사고가 범인임을 입증하는 일련의 증거들을 찾아내고, 변호사는 자동적 사고가 범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