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 BETTERMENT

필사) 소방관의 선택 본문

BOOK

필사) 소방관의 선택

_포코 2020. 11. 4. 11:23

 

102

지휘관이 내리는 모든 결정은 상황 인식, 즉 머리 속에 그려진 사건의 전체적 구도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편견 없는 열린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가 잃는 환경 자체가 불확실성으로 가득하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 대한 추정으로 빈칸을 메우는 것이 필요하지만 동시에 거기에 대한 의문을 끊임없이 제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122

조너선의 연구팀과 함께 일한 경험을 통해 나는 이미 의사결정 과정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작전 목표에 집중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다시 말해 '만일 이렇다면?' 하는 우려를 내려 놓고 행동과 결과에 집중하는 것이다.

 

162

우리가 파급효과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고 '지금, 여기에만 집중해서 결정을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더 큰 그림이나 영향은 생각지 않고 어떤 생각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추정해버린 적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케이크 한 조각을 접시에 더 담으면서 다이어트 결심을 천 번 째 깨뜨리려는 순간 이 기법을 사용하는 나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 케이크 한 조각 먹는다고 얼마나 살이 찌겠나? 흠 한 조각에 들어있는 900칼로리의 열량을 다 태우려면 16km를 넘게 뛰어야 한다. 거기까지 생각이 미치면 갑자기 그 케이크 한 조각을 먹어서 뭐하겠나 하는 생각이 들고 만다.

따뜻한 잠자리에 조금만 더 누워 있고 싶다는 유혹을 이기고 벌떡 일어나 운동을 하라고 나 자신을 설득할 때도 이 기법을 쓴다. 달리기를 하고 나면 하루 종일 얼마나 기분이 더 좋을지, 그에 비해 아침 내내 잠옷 바람으로 게으름을 피우면 얼마나 멍한 느낌이 들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누구나 결정을 내리기 전에 자신이 맞춘 퍼즐 그림, 즉 상항 인식력을 향상시키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자기 자신을 설득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 것이다.

 

192 결정 제어 프로세스

이 기법은 의식적으로 목표를 다시 확인하고, 결과를 예상해보고, 내리려는 결정에 따른 이득과 위험을 이성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일련의 프롬프터들을 제시한다. 간단히 말하면, 어떤 결정을 내렸을 때(그것이 분석적이든 직관적이든) 그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지휘관들에게 스스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질문을 빠르게 던져보게 하는 것이다.

목표 : 이 결정으로 내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예측 : 이 결정으로 어떤 결과를 얻을 것이라 예측하는가?

위험 vs 이득 : 이득이 위험을 얼마나 능가하는가?

매번 결정을 내릴 떄마다 위 질문들을 머리속에서 재빨리 검토하는 것이다. 목표를 재확인하는 것은 이 결정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작전의 전반적인 목적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를 예측하도록 하는 것은 이 결정을 이루고자 하는 것은 상황 인식력을 향상 시키고 퍼즐 그림을 더 자세하게 완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의식적으로 위험과 이득을 저울질하는 것은 전체적을 더 나은 결정을 유도한다.

 

271

우리는 왜 이 일을 하고 있는가?

 이 결정으로 얻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이 결정의 근거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 결정은 합의 하에 도출된 것인가?

 이 결정이 함께 일하고, 인명을 구하고, 피해를 줄이는 목표에 부합하는가?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이라 예상하는가?

이 조차의 결과는 무엇이라 예상하는가, 특히 전체적 목표와 다른 조치들에 끼칠 영향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이 조치로 인해 상황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그리고 어떤 결과를 예상하는가?

 

이런 것들을 고려할 때, 거둘 수 있는 이득은 감수해야 할 위험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취하고자 하는 조치로 거둘 수 있는 이득은 받아질 위험을 정당화하는가?

 

다음 사항들에 대한 공통의 이해와 입장이 형성되어 있는가?

현재 상황과 취해지는 조치로 예상되는 영향과 결과

손에 넣을 수 있는 정보, 중요하지만 불확실한 요소들, 주요 추정들

대응에 참여한 모든 대원들 사이에 용어와 측정 단위의 통일

개별 기관들의 작업 관행이 합동 대응과 조화를 이루는지 여부

결정이 내어지고 의사소통이 되었는지의 여부

 

개인의 입장에서

집단적으로 내려진 결정이 내 개인적 판단과 경험에 부합하는가?

개인의 입장에서, 그리고 팀의 입장에서 이 결정이 최선의 해결책이라는 데 동의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