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심리학 (2)
STEADY BETTERMENT
27 미끼 대안이 선택 집합 내에 들어옴으로써 표적 대안을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선택 점유율을 경쟁 대안에서 표적 대안으로 끌어오는 효과를 '유인 효과'라고 부른다. 29 만일 의사결정자가 b를 선택하는 것이 더 정당화하기 쉬운 의사결정이라는 이유로 a 대신 b를 선택했다면 그것은 불합리한 행동일까? 이 경우 의사결정자가 a와 b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는 것만이 목표가 아니고 선택의 정당화 용이성을 극대화하려는 목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c의 출현으로 자신의 선택을 a에서 b로 전환하는 행동은 목적에 맞는 행동이다. 그리고 정당화 용이성의 극대화를 의사결정의 합리적인 목표로 간주할 수 있는 한, 이는 합리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7 그러나 실험의 결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LJK3/btqxjAvIp3Z/pRBKHXJKOBWNkl2XC4KNB1/img.png)
책의 정확한 명칭 : 너덜너덜 기진맥진 지친 당신을 위한 마음챙김 안내서 저자 : 루비 왁스 p41. 컴퓨터가 과부하를 일으키면 껐다가 조금 후 다시 켜야 한다는 걸 우리는 안다. 그런데 왜 자신에게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패배감을 느끼는 걸까? p58. 내가 정의하는 마음챙김이란,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아라채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폄하지 않는 것이다. p59. 우리가 관찰자 입장에서 가만히 생각들을 지켜보면 생각은 힘과 자극을 잃게 된다. 즉, 우리의 생각들이 우리 자신은 아님을 깨닫게 된다. 만일 우리 자신이람ㄴ 어떻게 우리가 우리 생각들을 관찰할 수 있겠나? 순수하게 지켜본다는 것은 단어, 사고, 개념, 주장들을 한 바퀴 돌아보는 것이다. 생각이 떠오르는 대로 행동하려는 충동을 잠시 참아보면 그제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