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결정하는뇌 (1)
STEADY BETTERMENT
필사 ) 뇌과학을 마케팅에 적용하고 싶다면 읽어보자 '결정하는 뇌'
27 미끼 대안이 선택 집합 내에 들어옴으로써 표적 대안을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선택 점유율을 경쟁 대안에서 표적 대안으로 끌어오는 효과를 '유인 효과'라고 부른다. 29 만일 의사결정자가 b를 선택하는 것이 더 정당화하기 쉬운 의사결정이라는 이유로 a 대신 b를 선택했다면 그것은 불합리한 행동일까? 이 경우 의사결정자가 a와 b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는 것만이 목표가 아니고 선택의 정당화 용이성을 극대화하려는 목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c의 출현으로 자신의 선택을 a에서 b로 전환하는 행동은 목적에 맞는 행동이다. 그리고 정당화 용이성의 극대화를 의사결정의 합리적인 목표로 간주할 수 있는 한, 이는 합리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7 그러나 실험의 결과는 ..
BOOK
2023. 11. 1. 1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