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초고 (3)
STEADY BETTERMENT
키워드를 바탕으로 레퍼런스를 확보한다. 레퍼런스는 찾기 좋게 정리한다. (논문의 경우 블로그에 먼저 요약 정리하도록 하자) 키워드를 뽑고 키워드에 대한 요점을 한 문장으로 정리한다. 그 문장의 빈틈을 자료로 채워 우선 양을 확보한다. 키워드는 가장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하는 단어이다. 초고가 쓰레기 같더라도 마침표를 찍고 다음 장으로 넘어가자. 글 쓰기는 양이 먼저다. 충분한 양을 쓸 수 있다면 좋은 질의 글을 쓰는 것이 가능하다. A4용지 100매 40꼭지 분량의 글을 쓴다고 가정하면 각 꼭지에 2.5매 씩 하루에 1꼭지 씩 쓴다고 생각하고 한 호흡으로 초고를 쓸 수 있도록 하자. 3개의 유사하지 않은 키컨셉을 잡고 키컨셉을 도식화+연결한다. 글은 본론이 먼저다. 기승전결x 전기승결o 서두는 자연스러운 ..
서점에 가서 내가 쓰고자 하는 책과 유사한 분야의 책을 읽는다. 유사 도서의 장단점을 분석해 나만의 차별화된 콘셉트를 만든다. ‘책을 읽는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어가면 좋겠는가?’를 고민한다. 생각나는 문장을 계속해서 기록해 둔다. 문장이 충분히 모이면 재배열해 목차를 구성한다. 새로운 정보, 새로운 관점으로 나만의 솔루션을 제시한다. 이동시, 밥을 먹으며 등 머리 속에서 생각을 조직화한다. 1. 출판의 프로세스 이해하기 https://lab-sportpsycho.tistory.com/20 3. 초고 작성하기. https://lab-sportpsycho.tistory.com/22
빠른 시일 내에 출판을 할 수 있기를 바라며, 한 권을 시작으로 더 많은 책이 나오길 바라며 정리하는 글 책이 출간 되는 과정 요약 1. 콘셉 구상하기 2. 제목, 목차 구성하기 3. 목차를 바탕으로 키워드 잡기 4. 근거 자료 및 사례를 수집하기 5. 집필 일정 계획하기 6. 초고 작성 7. 퇴고(탈고) 8. 출판사 투고 9. 출판사 계약 10. 출간 위의 10단계로 러프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단계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집니다, 1. 콘셉 구상하기 콘셉과 관련하여 가장 좋았던 질문은 ‘책을 읽는 독자들이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어가면 좋겠는가?’였습니다. 비젼이나 미션과 더 닿아 있는 질문같기도 하지만, 독자가 누군지 이해할 수 있는 질문입니다. 또한 독자가 원하는 부분을 고민함으로 책의 기둥이 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