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 BETTERMENT

필사) '불완전한 삶에 관한 조금은 다른 이야기' 본문

BOOK

필사) '불완전한 삶에 관한 조금은 다른 이야기'

_포코 2024. 11. 7. 15:23

68

'불행하지 않은'과 '행복하고 의미있는'의 차이를 생각해보자. 

 

111 평가하는 대신 관찰하는 연습

1. 당신이 불행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논리구조를 '그러므로'에서 '그리고'로 바꾸고 결말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해서 반복하여 이야기해보자. 

나는 외모가 모자라. 그래서 사랑받을 수 없어 -> 나는 외모가 모자라, 그리고 마음이 잘 맞는 사람을 찾을 거야.

2. 스스로를 설명하는 말에 '~라고 생각하는 구나'라는 말을 덧붙이는 연습을 해보자.

나는 실패자야 -> 지금 나는 나를 실패자라고 생각하는구나

3. 불안하고 두려운 생각을 느린 속도, 낮은 톤과 편안한 어조로 바꾸어 이야기해보며, 생각에 대한 느낌의 변화를 관찰해보자.

4.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떨어져 부정적인 자기 인식과 관련된 문장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이는 장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5. 마음을 지배하는 부정적인 관념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반론을 찾아보자. (애써 긍정적인 생각을 찾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의 지배력을 약화하기 위한 것이다)

나는 태어나서 한번도 행복한 적이 없다고 믿는다면, 단 하루라도, 아주 잠깐이라도 행복했던 기억을 탐색해보자. 

 

134

고민의 종결을 결정하는 기준 역시 답답하고 두렵고 막막하고 초조한 느낌이 얼마나 해소되었는지가 아니다. '감정적으로 완벽히 후련해졌는지'가 아니라, '지금 내가 예측하고 대응할 지점을 충분히 검토했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162

오늘의 내가 행하는 것, 말하는 것, 그것이 오늘의 나다. 

 

173

나를 사랑해야지, 라고 생각하기 전에 '내 마음의 입장에서 어떤 방식이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라 느끼게 될지'를 생각해보면 좋겠다. 

 

193

불안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점검해볼 수 있는 관점이 있다. 지금 여기에서 당신이 행하는 일, 오늘 보내는 일상이 '이렇게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라는 이유에 어울리는지를 혹은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 내가 원하는 하루에 알맞아서'라는 이유에 어울리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200

필요한 것은 당연한 긴장과 두려움을 회피할 방법이 아니라, 긴장과 두려움을 감수하고 스스로가 원하는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용기와 힘일지도 모른다. 

 

209

나의 기준에서 화를 낸다는 것은 순간의 충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불편한 정서가 '실제로' 내면에서 밖으로 내보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갈등 해결, 상황 종결, 관계 개선, 마음의 평온 같이 원하는 결과가 '실효적'으로 주어질 수. 있는 방식, '화를 내보내는' 기능을 훌륭히 수행하는 방식이 내가 화를 내는 방식이다. 

 

244

하루를 온전히 내가 바라는 대로만 구성할 수는 없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그에 맞춰 바라는 것을 추구할 자유는 내게 있다.